기아 T-200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아 T-2000은 1962년 동양공업에서 T1500의 엔진을 2000cc로 변경하여 출시한 삼륜 트럭이다. 최대 적재량은 2t이며, 1967년부터 대한민국에서 생산되어 자영업자, 용달회사, 연탄 배달 등에 널리 사용되었다. 일본에서는 1974년까지 생산되었으며, 현재는 일본에서 현역으로 활동하는 차량이 남아있고, 대한민국에는 금호상사에 복원된 차량 1대가 소장되어 있다. 수냉 직렬 4기통 1985cc 엔진을 장착했으며, 삼륜 트럭 중 최고 속도인 100km/h를 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대 자동차 - 포드 머스탱
포드 머스탱은 포드 모터 컴퍼니가 생산하는 스포츠카로, 1964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디자인과 성능 변화를 거듭하며 모터스포츠와 대중문화에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 1960년대 자동차 - 쉐보레 서버번
쉐보레 서버번은 1935년 출시되어 12세대에 걸쳐 생산된 풀사이즈 SUV로, 초기에는 목재 부품을 사용한 8인승 스테이션 왜건이었으나 현재는 3열 시트와 V8 엔진을 탑재하여 경찰차, 구급차, 미국 정부 기관 등에서 널리 활용된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콩코드
기아 콩코드는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기아자동차에서 마쓰다 카펠라를 기반으로 생산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에어백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으며, 영화 '투캅스'에 등장하기도 했다. - 기아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 기아 - 기아 콩코드
기아 콩코드는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기아자동차에서 마쓰다 카펠라를 기반으로 생산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에어백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으며, 영화 '투캅스'에 등장하기도 했다.
기아 T-2000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기아 T2000 |
제조사 | 기아자동차 |
조립 장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
생산 기간 | 1967년 ~ 1974년 |
선행 차량 | 기아 T-1500 |
후속 차량 | 기아 브리사 |
2. 역사
1962년 동양공업은 T1500의 엔진을 2000cc로 바꾸면서 T2000이라는 이름을 짓고 그해 시판에 들어갔다. T-2000은 최대적재량 2t, 공차중량 1,485kg였다. 1967년부터 대한민국에서 생산되어 삼륜차가 널리 보급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당시 국내 자영업자, 용달회사, 연탄 배달차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주로 중장거리 운송에 많이 사용되었다. 일본 현지에서는 삼륜차량 가운데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었으며 1974년까지 생산되다가 단종되었다. 차량의 기본 형식은 T1500과 동일하나 엔진과 적재 용량이 개선되었다.
T-2000은 일본에서 여전히 현역으로 활동 중인 차량이 많다. 대한민국에서는 단 1대가 남아있는데, 개인 운수 업자가 폐기 처분하려는 것을 한 자동차 수리업자가 인수하여 복원하였다가 금호상사의 대표가 인수하여 현재 금호상사에 소장 중이다.
- 1957년 8월, 2톤차 HBR형 3인승, 11월에는 1톤·1.5톤차 MAR형 2인승 모델이 출시되었다.
- 1959년, 공랭 2기통 엔진에서 수랭 4기통 엔진으로 변경하면서 차명을 T1500으로 변경했다.
- 1962년 소형차 틀의 확대에 따라 엔진의 배기량을 2.0L로 확대, T2000이 되었다.
- 1974년 수주 생산 중단까지 10년 이상 생산되었다.
2. 1. 개발 배경
1962년 동양공업은 T1500의 엔진을 2000cc로 바꾸면서 T2000이라는 이름을 짓고 그해 시판에 들어갔다. 최대적재량은 2t이며 공차중량은 1,485kg에 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1967년부터 생산되었으며 국내에 삼륜차가 널리 보급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당시 국내 자영업자, 용달회사, 연탄 배달차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주로 중장거리 운송에 많이 사용되었다.1957년 8월, 2톤차 HBR형 3인승, 11월에는 1톤·1.5톤차 MAR형 2인승 모델이 출시되었다. 1955년형에서 채용한 2등 스타일을 더욱 발전시킨 새로운 디자인의 닫힌 캐빈을 도입, 바 핸들 방식을 폐지하고 오른쪽 원형 핸들과 컬럼 시프트, 유압 클러치를 채용하여 당시의 사륜 트럭에 대항할 수 있는 사양을 갖추었다. 엔진은 종래부터의 강제 공랭 2기통을 사용했다.
1959년에는 기존의 공랭 2기통 엔진에서 수랭 4기통 엔진으로 변경함과 동시에 차명이 T1500이 되었다. 1962년 소형차 틀의 확대에 따라 엔진의 배기량을 2.0L로 확대, T2000이 되었다. T1500의 명칭은 동생뻘인 T1100이 이어받았다. 1974년의 수주 생산 중단까지 10년 이상 생산되었다. 그 때문에 삼륜차 중에서는 현존하는 수도 많다.
2. 2. 대한민국 생산 및 보급 (기아)
1962년 동양공업은 T1500의 엔진을 2000cc로 바꾸면서 T2000이라는 이름을 짓고 그해 시판에 들어갔다. 최대적재량은 2t이며 공차중량은 1,485kg에 달했다. 대한민국에서는 1967년부터 생산되었으며 국내에 삼륜차가 널리 보급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당시 국내 자영업자, 용달회사, 연탄 배달차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주로 중장거리 운송에 많이 사용되었다. 일본 현지에서는 삼륜차량 가운데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었으며 1974년까지 생산되다가 단종되었다. 차량의 기본 형식은 T1500과 동일하나 엔진과 적재 용량이 개선되었다. 현재 일본에서는 여전히 현역 중인 차량이 많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딱 1대가 남아있는데, 개인 운수 업자가 폐기 처분하려는 것을 한 자동차 수리업자가 인수하여 복원하였다가 금호상사의 대표가 인수하여 현재 금호상사에 소장 중이다.2. 3. 단종 이후
1974년 일본 현지에서 생산이 중단되면서 단종되었다. T-2000은 삼륜차 중에서는 현존하는 수가 많은 편이다. 대한민국에서는 한 자동차 수리업자가 폐차 직전의 T-2000을 인수하여 복원했다가, 이후 금호상사의 대표가 인수하여 현재 금호상사에 소장 중인 차량 1대가 남아있다.3. 특징
1962년 동양공업은 T1500의 엔진을 2000cc로 바꾸면서 T2000이라는 이름을 짓고 그해 시판에 들어갔다. 최대적재량은 2t이며 공차중량은 1,485kg에 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1967년부터 생산되었으며 국내에 삼륜차가 널리 보급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당시 국내 자영업자, 용달회사, 연탄 배달차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주로 중장거리 운송에 많이 사용되었다. 일본 현지에서는 삼륜차량 가운데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었으며 1974년까지 생산되다가 단종되었다. 차량의 기본 형식은 T1500과 동일하나 엔진과 적재 용량이 개선되었다.
4. 제원
구분 | UA형 OHV |
---|---|
전장 (mm) | 4,380 |
전폭 (mm) | 1,685 |
전고 (mm) | 1,920 |
축거 (mm) | 2,965 |
윤거 (전, mm) | |
윤거 (후, mm) | |
승차 정원 | 3명 |
변속기 | 수동 3단 |
최고 속도 (km/h) | 100 |
구동 형식 | 후륜 구동 |
연료 | 가솔린 |
배기량 (cc) | 1,985 |
최고 출력 (ps/rpm) | 81/4,600 |
최대 토크 (kg*m/rpm) | 15.5/4,0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